1908(명치41)년 간도 접수 일본행 군사우편 실체 이 때만 해도 일본은 간도를 조선 영토로 인정하고 있었다는 증표가...... 사용된 한국형 일부인. 이 일부인은 조선 영토에서만 사용된 것이라 <한국형 일부인>이라 불린다. 한일통신합동기(1905-1910) 2013.08.07
1909년 통감부 통신관리국에서 만든 한국우편절수첩(우표첩) 대한제국 태극보통과 독수리 보통우표의 사용필 우표도 보이고 이화 보통우표 고액면 우표의 재쇄, 어극 40주년 무공 우표와 한일통신합동 기념우표가 첩부 되었다. 한일통신합동기(1905-1910) 2013.08.05
1905(광무9.명치38)년 한국 경성 부족인이 찍힌 엽서 실체 국내 체송인데 부족인이 찍힌 이유는...... 1905년 4월 한일통신합동조약에 의해 1905년 6월 30일까지는 기존 요금대로(엽서1전) 하고, 7월 1일부터는 일본 규정 요금에 따르기로 한 바 엽서요금은 1전5리로 인상 되었다. 이런 사실을 모른 발송인이 8월 8일에 1전짜리 엽서를 그냥 보냈으니 부족.. 한일통신합동기(1905-1910) 201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