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2월 인천 소인 1905년 6월까지 대한제국의 통신기관을 접수한 일본은 우표와 소인도 일본것을 쓰게 하였습니다. 그 중 한국형 일부인이라는 소인형태를 1908년(明治41년) 2월부터 사용했는데...... 이 소인은 1908년 2월 16일인데 인천 우편국에서는 전기빗형을 썼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자료입니다. 무심히 지나치는 작은 .. 우표의 향기(대한제국시대) 2010.12.15
1912년(명치45년) 진주 변종소인 실체 아래 반월 안에 빗살이 아닌 굵은 선 한 개가 들어가야 정상인데....... 전기즐형의 빗살이 들어간 변종 일부인입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10.09.02
1908년 2월 23일 忠州局 전기빗형 군사우편 실체 명치41년(1908년) 2월부터 한국형 일부인을 사용하게 되어 이전까지 사용되던 전기빗형(1922년 이후에 사용된 것을 후기빗형이라 함) 일부인은 회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역별 상황에 따라(신형 일부인 공급이 늦어진다든지) 2월 1일 이후에도 간혹 사용된 사례가 나타납니다. 그러나 .. 우표의 향기(대한제국시대) 2010.07.14
明治 39년(1906년) 5.30 韓.海岸 소인된 엽서 1906년 4월1일부터 기존의 韓國**로 표기되던 일부인 대신 빗형 도안이 들어간 전기빗형 일부인이 사용되었고 일본내지와의 구별을 위해 韓.**로 표기하였습니다. 빗형일부인은 1922년 이후 다시 사용하였으므로 1908년까지 사용된 빗형일부인을 전기빗형이라 하고, 1922년 부터 사용한 빗형.. 우표의 향기(대한제국시대) 200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