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9.30 전기즐형 최후기 마산 실체 1908년 2월부터 보급된 한국형 일부인을 사용하게 되면서 즐형(빗살) 일부인은 자취를 감췄으나 마산 우편국에서는 1909년 9월말까지도 사용했음을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2
소화1년(1926)12.30 광화문 기계인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없는 유일한 소화1년 기계인 실체입니다. 소화1년 사용례는 1926.12.25부터 12.31까지 사용된 실체를 말하나 이 때는 연하 우편물 취급기간이라 (대정)16.1.1 소인을 하던 관행 때문에 사용례가 발견되지 않고 있었습니다만 유독 광화문에서 소화1년 12월 30일자 기계인 사용례가 발견되..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1
소화10(1935년).1.1 鐵原 七波線 기계인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기계인은 말소선이 6파선으로 되어 있었으나, 鐵原에서 사용된 기계인중에 7파선으로 제작된 기계인이 나타나는데.........매우 희귀하여 2008년말 일본 야후 경매에서 75000엔(당시 환율로 약112만원)에 낙찰된 바 있습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1
후기빗형 최초기 사용 실체-대정11년 7월2일 일제강점기 후기빗형 일부인의 가장 빠른(最古) 사용례입니다. 대정11년(1922년) 7.2 충남.예산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1
소화3(1928년).1.1 豊角 소인 실체-한국형 최후기 소인 1922년부터 후기빗형 일부인이 보급되면서 기존에 쓰던 한국형 일부인은 급격히 사라지고 변종만이 몇 개국에서 사용되며 한국형 일부인의 명맥이 유지 되었으나, 豊角(所)에서는 1928년까지도 완전한 형태의 한국형 소인을 사용했다는 흔적입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1
1928. 수직체국명이 보이는 全北.咸悅驛前 소인된 엽서실체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보통일부인의 국명은 대부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으며, 원을 따라 비스듬히 국명이 새겨진 게 특징이지만 경기.장단역전, 강원.외금강, 전남.평릉, 충남.주포 등에서는 아래쪽으로 활자가 반듯하게(비스듬하지 않고) 식자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실체가 흔하..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