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3.朝鮮仁川 흑색 소인 엽서 무슨 연유인지 다시 경매에 올라왔더군요. 386.99달러 종료 조선인천 흑색 소인의 경우 1893년(명치26년) 6월 이전에 사용된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 자료가 7월 14일이니까 초기 자료로 평가 받은듯 합니다. 갈색소인은 1894년 7월 자료가 발견되어 있습니다. 우표의 향기(재한 일본우편국 관련) 2010.04.02
일제강점기 롤러인 사용실체 대정11년(1922년)경부터 인천,경성,평양등 주요국에서 쓰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체 입수가 어려운 롤러인은 대정연간에 사용된 것이 말소선이 좀 굵고, 소화연간에 사용된 것은 좀 가늘다는 것 밖에는 차이점이 없어 많은 자료를 접하지 않고서는 구분이 곤란한 상태입니다. 사용된 우표나 요금을 ..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롤러인) 2010.03.17
일제강점기(1910-1945)중 왕의 죽음과 일부인의 변화 일제강점기 중 사망한 일본왕은 두 명입니다. 일본 근대화의 상징 메이지(明治) 천황으로 알려진 무쓰히토(睦仁)가 1912년에 죽었고, 그의 뒤를 이었던 요시히토(嘉仁)가 1926년에 사망하였지요. 우편사에서는 왕의 사망과 즉위는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선왕의 연호 사용이 중단되고 새로운 연..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7.10
소화15년(1940년) 5월 31일자 삼성인 실체 일제강점기 중 1940년이 되자 1일 4회이상 시각표시를 바꾸던 통신일부인도 1940년5월23일 "총독부고시 제516호"로 시각표시를 삭제하고 시각란에 별을 넣은 "삼성인"을 사용토록하였습니다만 5월중에 사용된 삼성인 실체는 매우 드뭅니다. 이 실체는 5월31일 서울 광화문 우편국에 접수되어 경북 김천으로..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6
1909.1.1 경성 우편국 적색 일부인 명치42년(1909년)1.1 경성우편국 적색 일부인. 한일통신합동이후 우편 일부인은 말소인과 증시인의 역할을 위해 흑색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렇게 적색(주색)으로 한 실체가 드물게 나타납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외체인등) 2009.05.14
1910년 <통신사무> 청도 우편취급소 일부인 명치43년(1910년)9.10 경성우편국 접수인과 9.11자 청도 우편취급소 일부인이 사이좋게 찍힌 통신사무 엽서입니다. 일부인의 윗반월 안에 우편취급소를 뜻하는 (扱)이 들어있지요.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특수우편) 2009.05.14
1922.9.15 경성분실 등기실체 대정10년(1921).11.17 과 대정11년(1922)9.15 에 조선총독부 임야조사위원회에서 발송된 무봉서장 등기(서류)실체인데 대정11년 발송된 것은 分室이 소인 D란에 들어 있고, 등기 넘버링에도 경성분실이라 표기되어 있습니다. 우표의 향기(일제강점기 보통우편) 2009.05.11
1914(대정3)년 귀한 철도인 太田松汀間 실체 우리나라 철도인은 불행하게도 일본의 대륙 진출 야심과 그에 따른 전쟁 물자 수송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1905년 경부선 개통을 필두로 한반도를 종횡으로 연결하는 간선과 지선의 건설및 철도끼리 혹은 철도와 항만간 연결 작업이 해방될 때까지 계속됐습니다. 일제는.. 우표의 향기(1945년 이전 철도우편) 2009.05.08